대리석 속에 떠오르는 벌거벗은 얼굴을
The Naked Face rising out of the Marble


김정인, 임창곤, 호상근 

Kim Jungin, Lim Changkon, Ho Sangun


2024 / 09 / 19 ~ 2024 / 10 / 19

■ 전시 소개


  • 기억의 조각들이나 회화의 형식, 또는 일상의 이면에 내재된 이질적인 순간들을 부수고 제압하여 그것을 이내 새로이 창조하는 세 작가들
  • 형성과 해산의 도정을 형식으로 삼는 참여 작가들이 어떻게 난맥의 가능성에, 미미하거나 잘 감지되지 않는 것들의 생성과 산출에 관심을 표명하는지에 주목
  • 김정인 : 희뿌연 형상과 픽셀으로 화면을 모호하게 만드는 '교란'의 방식을 통해,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힘의 그물로부터 도피
  • 임창곤 : 피와 진액, 암석과 마그마, 장기와 고목의 뿌리를 상상하면서 입에서 항문으로 이어지는 통로를 촉각화, 공간화, 시각화하고, 비가시적인 신체 내부를 감각적인 실체로 탐구
  • 호상근 : 타인과의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견문과 삶의 조각들을 간직하려는 의지로 하루의 궤적을 정밀하게 탐사하며, 낯선 영역에서 도외시된 것들이 출력하는 다층적인 모습에 주목


본 전시 《대리석 속에 떠오르는 벌거벗은 얼굴을》은 모종의 체계와 형식, 혹은 스스로의 시선으로부터의 ‘비켜섬’을 통해 날마다 새로운 것을 건설하고 세계와 대면하게 된다는 어떤 시에서 기획의 실마리를 발견했다. 그것은 프랑스의 현대 시인 본느프와 (Yves Bonnefoy)의 「미완성이 절정이다」로, 특히 본 글의 한 구절인 “대리석 속에 떠오르는 벌거벗은 얼굴을 파괴할 것”은 예술가들이 영감과 상상, 추구하는 바 등을 허물고 삼킨 후에 그 위에 새로운 것을 건설하도록 권면하고 있다. 전시는 이처럼 형성과 해산의 도정을 형식으로 삼는 세 작가의 작업을 조명하고자 기획되었다. 김정인과 임창곤, 호상근의 작업에서 그들이 부수고 제압하여 이내 새로이 창조하는 것은 기억의 조각들이나 회화의 형식, 또는 일상의 이면에 내재된 이질적인 순간들이다. 전시는 어떠한 지점을 향한 운집으로부터 비켜서는 이들의 작업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어떠한 방법을 통해 난맥의 가능성에, 미미하거나 잘 감지되지 않는 것들의 생성과 산출에 관심을 표명하는지 살펴본다.


김정인 작가는 경험과 기억의 단편들을 픽셀 (그리드)로 형상화하고, 희뿌연 형상과 픽셀의 연막이 모호하게 산개된 화면으로 보는 이를 교란하게 만듦으로써 이해의 시간을 지연시킨다. ‘무계획적’인 붓질과 대상을 뭉개고 섞는 기법, 느린 호흡으로 쌓이는 유화의 성질도 화면 앞에 서 있는 우리의 예상을 배반하며 이해를 저지하는 요소다. 김정인이 이와 같은 교란을 시도하는 근원적인 이유는 이 세계에 드리워진 모든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힘의 그물로부터 빠져나가기 위함이다. 동시에 작가는 관객들이 주체적으로 사유하고 생산하려는 의지를 (그러한 틈을 타서) 재정비할 필요가 있음을 일깨우고 있다.


본 전시에서 임창곤 작가는 신체의 내부와 우리 몸속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관한 비가시적인 감각을 <결정체, sequoiadendron>와 <떨어져 나온 몸조각> 연작으로 선보인다. 이와 같은 작업들에서 작가는 피와 진액, 암석과 마그마, 장기와 고목의 뿌리를 상상하며 이 형상들을 물감에 섞는 행위를 통해 주름과 같은 물성을 파급한다. 그리고 작가는 나무에 구멍을 뚫거나 망치를 내리치고, 물감으로 그의 움직임과 흔적을 거듭 남기면서, 그가 발굴한 주름이 어떠한 물리적 실체가 되도록 만든다. 이러한 형체는 몸 안의 통로를 촉각화, 공간화, 시각화하여 비가시적인 신체 내부를 감각적인 실체로 탐구하도록 이끄는데, 그럼으로써 임창곤은 그가 형체를 부여해낸 몸 안의 실체와 소통하기를 추구하고 있다.


호상근 작가는 잃어버리거나 버려지고, 세월에 매몰된 물건 등 낯선 영역에서 도외시된 것들이 무엇을 출력하는지에 주의를 기울인다. 이렇게 호상근의 작업에 등장하는, 길거리와 눈과 물속에, 나뭇가지에 불시착한 이 대상들은 굳어짐이 없이 현재하기에 여념이 없고, 불현듯 다른 맥락으로 전환하거나 다른 상황으로 이질화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대상을 향한 호상근의 애착과 복합적인 감정은 관객 한 사람 한 사람과 사적으로 깊게 연대를 맺는데, 이는 작가가 타인과의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견문과 삶의 조각들을 간직하려는 의지로 하루의 궤적을 정밀하게 탐사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호상근의 그림에 편재하는 낯선 세계의 공기와 그가 본 현상, 상대방에게서 들은 이야기는 화면에 한데 모이는 과정에서 단선적인 해석으로 정련되기보다는, 매번 다층적인 모습으로 우리 앞에 드러나고 있다.




OVERVIEW

전 시 명   《대리석 속에 떠오르는 벌거벗은 얼굴을 The Naked Face rising out of the Marble
전시 장르   
회화 20여 점

전시 기간   2024년 09월 19일 (목) ~ 2024년 10월 19일 (토), 입장료 없음. 

전시 장소   라흰갤러리_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50길 38-7

관람 시간   (화~토요일) 오전11시~오후6시 / 일~월 휴무

문    의       02-534-2033 / lahee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