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나랜스
Homo Narrans


노상호, 이영욱, 정영호 

Noh Sangho, Yi Younguk, Jeong Youngho


2024 / 12 / 19 - 2025 / 01 / 18

■ 전시 소개


  • 유인원이었던 우리는 생존을 위해 이야기를 하면서 인간이 된 서사적 동물, 이른바 ‘호모 나랜스 (Homo Narrans)’라 할 수 있음
  • 기술적 진입 장벽을 무너뜨린 정보의 빅뱅은 ‘이야기하기’와 ‘경청’에 필요한 인간의 주의를 점차 파편화하면서 '이야기의 위기'를 초래함
  • 《호모 나랜스》는 이렇듯 이야기의 위기라는 난맥상에 노출된 형국에서 자기를 보존하면서도 동시대의 이야기를 찾으려는 어떤 증언의 양상을 포착하고자 기획된 전시
  • 노상호 :  ‘The Great Chapbook’과 ‘Holy’ 시리즈를 통해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횡단하는 작금의 현실과 그 간극이 초래하는 감각을 즉물적으로 옮김으로써, 자극의 홍수 앞에서 둔해지는 의식의 힘을 관객으로 하여금 지속해서 추동케 함
  • 이영욱 : 자극적이고 말초적인 흥분에 도취된 주변 환경을 ‘조작된 형태’를 확장한 반복적인 형상에 담아, 현대 사회의 단면에 접촉해 있는 자신의 모습과 이야기를 진솔하게 토로
  • 정영호 : 시대 감각과 정서가 발화되는 양상에 집중한 ‘Double Retina’ 작업들을 스토리보드 안에 통합하여, (기술로 건설된) 화면 안의 세계와 현실의 미묘한 동행이라는 구조로부터 인식 체계가 얼마나 연약하게 동요되는지를 체감케 함


기술적 진입 장벽을 무너뜨린 정보의 빅뱅은 ‘이야기하기’와 ‘경청’에 필요한 인간의 주의를 점차 파편화하면서 ‘이야기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그런데 유인원이었던 우리가 생존을 위해 이야기를 하면서 인간이 된 서사적 동물, 이른바 ‘호모 나랜스 (Homo Narrans)’라 하여도 지나침이 없다는 점으로 볼 때, 이와 같은 서사의 위기는 존재를 덮치는 곤경의 총체가 아닐 수 없다. 삶의 형식을 서사적으로 실현해온 우리는 스스로가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또 귀를 기울이면서 삶의 의미를 찾기 때문이다. 전시 《호모 나랜스》는 이렇듯 이야기의 위기라는 난맥상에 노출된 형국에서 자기를 보존하면서도 동시대의 이야기를 찾으려는 어떤 증언의 양상을 포착하고자 기획되었다. 이를테면 본 전시에서 우리는 (서사를 이루지 못하는) 정보와 데이터, 부스러기 같은 순간들이 참여 작가들의 머릿속을 어떻게 스치는지, 이러한 현상을 당면함으로써 이들은 삶에 대해 어떠한 이야기를 하는지 살펴본다. 더불어 전시는 관객이 각자의 서사를 만들고 인식을 증진할 수 있는 감각을 작품을 매개로 모색할 수 있도록, 이야기의 위기라는 거친 낯섦에 가로막힌 우리를 논의의 장으로 초대하고자 한다.


이야기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순간적인 이미지만을 소비하려는 현대의 풍광 가운데에서도, 노상호는 출품작인 ‘The Great Chapbook’과 ‘Holy’ 시리즈를 통해 ‘의식의 결과’로서 나름의 자아를 건설한다. 가령 가상에 흩뿌려진 이미지들을 매일 수집하여 그려낸 ‘The Great Chapbook’에는 정보들이 작가 자신이라는 얇은 존재를 통해 쏟아지듯 들어왔다가, 작가를 매개로 다시 가상에 퍼지는 프로세스를 드러낸다. 또한 AI 생성기를 거쳐 제작되는 ‘Holy’에서는 현실의 물리를 위배한 오류인 글리칭 (glitching)이 나타나는데, 이를 의식함으로써 그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을 바라보며 양쪽을 오가는 위치에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다. 이렇듯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횡단하는 작금의 현실과 그 간극이 초래하는 감각을 즉물적으로 옮겨낸 노상호의 회화는 자극의 홍수 앞에서 둔해지는 의식의 힘을 지속해서 추동케 만든다.


'형상의 반복성'을 꾸준히 시도해온 이영욱은 이번 전시에서 이미지들이 기괴하게 결합된 개조와 병치의 느낌을 화면에 부여한다. 그가 이렇듯 패턴을 조작하는 이유는 말초적인 흥분에 도취된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새로운 맥락으로 재구성하여, 현대 사회의 단면에 접촉해 있는 자신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토로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영욱이 파편화된 이미지들을 ‘불안정한 건축적 구도’ 안에 배치하는 것은 마치 뇌가 삶의 조각들을 편집하고 사건을 특정한 서사 구조로 분류함으로써, ‘기억의 집합’으로서의 자아를 형성하는 과정을 연상시킨다. 이영욱은 이처럼 ‘나와 주변에 대한 편집된 이야기’로 작업의 피부를 열면서 자신을 꾸밈없이 반영한 모습이 무엇인지 인식의 폭을 넓게 펼쳐나간다.


정영호는 사진의 형식이 지닌 역치를 극복하기 위해 조형적인 실험에 모종의 맥락을 결합하여, 물질로 프린트되는 사진의 유효성을 모색하고 사진이 세계와 시선을 교환할 수 있는 고유의 피부 감각을 갖기를 꾀한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그는 두 방향으로 구성된 기존의 <더블 레티나> 작업들을 발전시켜,  작가 자신과 동시대인들의 정서에 관한 이야기를 보다 선명하게 구체화하고 있다. 일상을 촬영한 흑백 필름 사진과, 소셜미디어의 GUI나 생성 이미지 혹은 해외 보도사진을 스마트폰 화면에 띄워 픽셀이 드러나도록 접사 촬영한 사진을 스토리보드의 프레임 안에서 통합하는 것이다. 이처럼 정영호는 화면 안과 밖의 세계가 마주하는 지점과 순간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술로 건설된) 화면 안의 세계와 현실의 미묘한 동행이라는 구조로부터 우리의 인식 체계가 얼마나 연약하게 동요되는지를 체감케 한다.





OVERVIEW

전 시 명   《호모 나랜스 Homo Narrans》  
전시 장르   
회화, 사진 

전시 기간   2024년 12월 19일 (목) ~ 2025년 01월 18일 (토), 입장료 없음. 

전시 장소   라흰갤러리_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50길 38-7

관람 시간   (화~토요일) 오전11시~오후6시 / 일~월 휴무

문    의       02-534-2033 / laheen@naver.com